Home RIBs 스터디 1: Let'Swift 발표들로 RIBs 맛보기
Post
Cancel

RIBs 스터디 1: Let'Swift 발표들로 RIBs 맛보기

많은 팀에서 도입하고 있는 RIBs 아키텍처에 대해 스터디 해보겠습니다. RIBs 레포의 설명도 좋지만, 먼저 안정민님이 정리해주신 자료들로 필기해보며 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MVC, MVVM, ReactorKit, Viper를 거쳐 RIB 정착기 (1)

https://www.youtube.com/watch?v=3XS6xLzKRjc 강의 필기 입니다.

기존 아키텍처에 왜 만족 못했는가?

  • 화면 단위가 아닌 프로세스 단위로 유연한 개발 필요
  • 자체 제작 아키텍처의 유지 보수 어려움
  • 더 확실한 안정화 필요
    • 테스트 코드 템플릿 또는 가이드가 있는 아키텍처가 거의 없음
    • 체계화된 테스트 코드 작성이 필요

아키텍처 여정

MV(C)

  • 장점: 기존에 익숙한 구조. 단순환 화면에만 적용
  • 단점: 기능이 확장되면 깔끔하지 않아짐

MVVM

  • 장점: MVC보다는 코드가 정리되는 느낌
  • 단점: 기능이 복잡해질수록 ViewModel이 빠르게 비대해짐. 표준화된 틀이 존재하지 않음. 이해가 다름. 테스트 코드 작성이 가능하지만 어려움. Rx 허들 및 디버깅…

ReactorKit

  • 장점: 단방향이라 View와 관계된 로직이 깔끔
  • 단점: 프로세스 단위의 아키텍처라 아니라서 아쉬움.

VIPER

  • 장점: VIPER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됨
  • 단점: 명확한 가이드, 테스트 코드 템플릿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음

RIBs 선택한 이유

  • RIBs에 대한 설명은 https://www.youtube.com/watch?v=BvPW-cd8mpw 이것을 보는게 좀 더 좋다고 해서 좀 더 아래쪽에 따로 정리해뒀습니다.
  • 템플릿화된 코드 및 테스트 작성 https://github.com/uber/RIBs/tree/master/ios/tooling
    • 템플릿을 통해 RIB / RIB Unit Tests / Component extension 을 만들 수 있습니다. (Component extension 이건 뭔지 모르곘네요… 나중에 찾아보겠습니다) RIB template
    • Owns corresponding View: View가 있는 RIB을 만들건지 선택 Adds Storyboard file: View를 Storyboard로 만들지, 아니면 xib로 만들지 선택가능 RIB template 2
    • 체크한 항목에 따라 아래와 같이 파일을 만들어 줌 RIB template 3
    • 템플릿으로 테스트 코드도 구성 가능.
    • 테스트 코드에 Mock 구성하는 방법도 있음. Tutorial2/TicTacToeTests/TicTacToeMocks.swift present가 호출되었는지, 클로저가 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가이드를 제공해주고 있음. 이 코드는 템플릿으로 제공해주지는 않고 있음. SourceKitten을 이용해서 Mock 코드 생성하는 스크립트 이용중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

RIBs Protocol

  • 프로토콜이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데…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헷갈리네요;;

Interacto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import RIBs
import RxSwift // Rx는 필수일까?

// 이 코드가 Interactor 쪽에 있어야 함
protocol LoggedInRouting: ViewableRouting {
    // 여기에 원하는 명령을 추가
    // -> Router는 컴파일 에러
    // -> Router에 가서 컴파일 에러 수정
}

protocol LoggedInPresentable: Presentable {
    var listener: LoggedInPresentableListner { get set }
}

// 상위 RIB이 어떤 Interaction에 대해 호출을 해야 할 때
// "나는 내 작업이 끝났어" 하고 알려줘야 할 때
protocol LoggedInListener: class {

}

final class LoggedInInteractor: PresentableInteractor<LoggedInPresentable>, LoggedInInteractable, LoggedInPresentableListner {

    // Interactor는 Routing 과 View를 알고 있어야하기 때문에 weak 변수로 가지고 있음
    weak var router: LoggedInRouting?
    weak var listener: LoggedInListener?

    ovrride init(presenter: LoggedInPresentable) {
        super.init(presenter: presenter)
        presenter.listner = self
    }

    ovrride func didBecomeActive() {
        super.didBecomeActive()
        // TODO: Implement business logic here.
    }

    ovrride func willResignActive() {
        super.willResignActive()
        // TODO: Pause any business logic.
        // 여기에 Routing 작업을 할 수 있음
    }
}

Rout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import RIBs

protocol LoggedInInteractable: Interactable {
    var router: LoggedInRouting? { get set }
    var listener: LoggedInListener? { get set }
}

// View에 어떤 Present를 할지, Push를 할지 방향을 정하는 역할
protocol LoggedInViewControllable: ViewControllable {

}

final class LoggedInRouter: ViewableRouter<LoggedInInteractable, LoggedInViewControllable>, LoggedInRouting {
    override init(interactor: LoggedInInteractable, viewController: LoggedInViewControllable) {
        super.init(interactor: interactor, viewController: viewController)
        interactor.router = self
    }
}

View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mport RIBs
import RxSwift
import UIKit

// View에서 Action이 일어났을 때 -> Interactor 쪽에다 알려줘야 하는 것을 정의
// Interactor는 이 프로토콜을 구현해야 함
// 한 군데라도 프로토콜을 따르지 않았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해서 -> 에러가 나는 곳을 구현해주면 됨
protocol LoggedInPresentableListener: class {

}

final class LoggedIn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LoggedInPresentable, LoggedInViewControllable {
    weak var listener: LoggedInPresentableListner?
}

부모 RIB <-> 자식 RIB 간의 통신

Interactor를 통해서만 통신을 하게 되어 있음

RIBcommunication

복잡한 로직도 Interactor간의 통신으로만 구현 가능함

RIBcommunication2

의존성 주입 DI

해당 RIB에서 필요한 속성을 Dependency에 정의

1
2
3
4
5
6
7
8
9
10
import RIBs

// 해당 RIB은 여기에 있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음
protocol LoggedInDependency: Dependency {

}

final class LoggedInComponent: Component<LoggedInDependency> {

}

이런식으로 만들 수 있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RIBs

protocol LoggedInDependency: Dependency {
    var name: String { get }
    var nickName: String { get }
}

final class LoggedInComponent: Component<LoggedInDependency> {
    fileprivate var name: String {
        return dependency.name
    }

    fileprivate var nickName: String {
        return dependency.nickName
    }
}
  • dependency가 확장되면 컴파일 에러 발생
  • 해당 RIB을 사용하는 곳은 다 작성을 해야 함

RxRIBs, Multiplatform architecture with Rx

https://www.youtube.com/watch?v=BvPW-cd8mpw 회사 세미나에도 발표하러 오셨었는데 들었던 이후로 시간이 꽤 지나서 다시 들으며 정리했습니다.

새로운 아키텍처 필요했던 이유

  • 서비스를 빨리 출시해서 운영 노하우를 얻고자 했음
  • 기존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하면 안되겠다고 생각함
  • 두 플랫폼에서 동일한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싶었음

고민 요소

  • MVC는 최대한 피하자
  • Single Activity Application
    • 안드로이드의 Activity 생성, 관리가 까다로움
    • 타다 같은 경우는 map-based 로 만들려고 했음
  • 프레임워크를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 시간이 없었음

RIBs

Interactor

  • RIB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함
  • API를 어떻게 호출할지,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지, 어떤 State로 바꿔줄지 Interactor에서 이루어짐

Router

  • 여러 RIB이 존재할텐데 A RIB -> B RIB으로 바꾸는 과정을 라우터가 신경써야 함
  • 트리상에서 어떻게 립이 존재할지, 트랜지션이 어떻게 일어날지 결정
  • 다른 Interactor를 호출하는것을 봉쇄시킴

Builder

  • 팩토리 패턴으로 RIB의 컴포넌트들을 생성해주는 역할을 함
  • 클래스들의 Mockability가 향상됨 <- 요건 무슨말이지…?
  • Builder는 실제 DI 시스템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알고있는 유일한 클래스

View

  • UI 컴포넌트들을 Layout 하고 애니메이션만 존재하도록

Presenter

  • View 로직이 필요할 떄만 추가함

State 관리

Convoluted state machines

stateMachine

  • State 관리에 장점이 있음
  • 앱에는 많은 State가 있음…

State tree

stateTree

  • 어떠한 형태든 Tree 형태로 상태를 그릴 수 있게 되었음
    • 이게 모든 앱이 다 가능할까???
    • 타다는 우버와 비슷한 목적의 앱이라서 잘 사용할 수 있었던건 아닐까?
    • 나중에 예제 따라해보면서 고민해보기
  •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상태를 변경함. 경우에 따라 여러 RIB이 attach된 경우도 있음
  • 뷰 로직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지 않았음!!

Scope

  • State tree를 사용했을 때 장점은 Scope를 한정 시키는 것

RIBScopes

협업하기 좋아짐

  • 관심사 분리
  • 레고 블럭 쌓듯이 구현해서 조립함

어려움

Flow of Data

우버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양방향 데이터 플로우 UberRIBs

VCNC에서는 단방향 데이터 플로우로 변경해서 사용함 VCNCRIBs

Animations

  • UITransitionDelegate를 이용함
  • HeroTransition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싶었음
  • RIB 간의 transition에서는 위의 두 방식을 사용하게 헀음
  • 그래서 RIB lifecycle을 변경해서 사용함

요약

RIBsWrapUp

배운점

  • 지난번에 한번 시도했다가 프로토콜들이 너무 많아서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각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하고 프로토콜이 변경되었을 때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키는게 변경을 더 명확하게 알아차리게 하는 장점이 될 수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 안정민님이 사용한 예시가 RIBs tutorial에 있는 것들인데 이것부터 따라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테스트 코드에 대한 템플릿도 있는게 굉장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테스트 작성에 손이 잘 안가는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하면 테스트 코드로 가는 허들을 조금 더 낮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iOS & 안드로이드 플랫폼 둘 다 RIB를 썼을 때 장점이 과연 어떨지 직접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어차피 Swift / Kotlin으로 각각 나눠서 작업 하는거면 내부의 아키텍처가 동일하더라도 각각 작업하는건 똑같을 것 같은데… 과연 이게 그렇게 큰 장점일지 궁금해졌습니다. 아니면 한 사람이 두 코드 베이스를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뜻인가…? 버그를 수정할 때 아키텍처 이슈보다 UI 오류였던 적이 더 많은 것 같아서 드는 고민입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Github Action으로 iOS 프로젝트 테스트하기

RIBs 스터디 2: 공식 레포 Wiki